기사상세페이지

“강동아트센터 기획공연 <소극장 연극 시리즈>”

기사입력 2024.05.14 10:25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 연극 ‘반쪼가리 자작’, 음악극 ‘붉은머리 안’으로 선보이는 소극장 연극 시리즈 -

    ㅇㄻㅎ휴.JPG

     

    (재)강동문화재단(대표이사 심우섭)은 5월과 6월 강동아트센터 기획공연 <소극장 연극 시리즈>로 연극 ‘반쪼가리 자작‘과 음악극 ’붉은머리 안‘을 선보인다. 2023년부터 강동아트센터는 소극장 연극 시리즈를 기획공연으로 선보여 관객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스테디셀러 작품 위주로 소개하고 있다.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연극 시리즈

    강동아트센터 소극장 드림은 블랙박스 씨어터로 극장의 장점을 살려 2023년부터 소극장 연극 시리즈를 관객에게 선보이고 있다. 오랜 기간 관객에게 꾸준히 사랑받아 온 작품들을 선택해 지난 해에는 연극 ‘러브레터’, ‘벽속의 요정’을 무대에 올려 김성녀, 배종옥, 장현성 등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배우가 출연해 중장년층 관객의 관심을 이끌어 냈다. 올해는 대학로 및 국립극단 등에서 마니아층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작품인 연극 ‘반쪼가리 자작’과 음악극 ‘붉은머리 안’을 선보인다. 지속적인 소극장 연극 시리즈 공연을 통해 관객의 문화향유기회 제고는 물론 연극 관객의 저변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113231321.JPG


    뒤틀린 동화, 연극 ‘반쪼가리 자작’

    환상문학의 세계적 거장인 이탈리아 작가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연극 <반쪼가리 자작>. 2022년 제43회 서울연극제에서 대상, 연출상, 관객리뷰단 인기상을 수상하며 3관왕 석권을 시작으로 제9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연극 부문 최우수상, 2022 공연 베스트 7에 선정되었으며, 제60회 K-Theater Awards 대상을 수상하며 심사위원과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2017년 초연 후 꾸준히 무대에 오르며 마니아 관객을 만들어낸 연극 <반쪼가리 자작>은 젊은 영주 메다르도가 이교도와의 전쟁에서 몸이 산산조각이 난 뒤 반쪼가리만 살아 돌아오면서 시작된다. 선과 악으로 나뉘어버린 청년 자작과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되는 인간 군상의 이야기를 다양한 오브제와 배우들의 움직임으로 구현한다.

     

      연극 <반쪼가리 자작>의 묘미는 무엇보다 인형 오브제와 배우들이 함께 역할을 나누는 멀티 캐스트에 있다. 배우들은 움직임과 오브제 연기를 함께 진행하며 작품의 몰입감을 높인다. 특히 선과 악으로 나뉜 반쪼가리 자작을 연기하는 배우들의 박진감 넘치는 움직임은 관객을 사로잡는다. 또한 배우들이 작품의 음악 중 일부를 직접 연주하며 극중 광대들의 유랑극단 분위기를 한껏 살려낸다. 이탈로 칼비노가 만들어낸 환상적인 배경과 이야기는 배우들의 입체적인 움직임과 함께 오브제들의 역할을 통해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을 것이다.

     

    2023 음악극 붉은머리 안 공연사진_6_(제공-엠비제트컴퍼니).jpg


    더 힙!해진 ‘안’들의 이야기! 음악극 ‘붉은머리 안’

     독특한 형식과 재치 있는 연출로 2021 산울림 고전극장 ‘우리가 사랑한 영미고전’에서의 매진 행렬 후 2022 대학로 무대에 오르며 예매처 관람 평점 9.9를 달성하며 화제를 모았던 음악극 ‘붉은머리 안’.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빨간 머리 앤’을 각색한 공연은 누구나 한 번은 들어봤을 유명 고전 ‘빨간 머리 앤’의 이야기를 신선하고 트랜디하게 보여주며, 젊은 감각의 연출과 배우들의 에너지로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독특한 리듬의 말과 움직임, 중독성 강한 음악 그리고 다양한 손악기의 효과음들로 채워지는 음악극 ‘붉은머리 안’은 배우 그 자체로 음악이 되고 무대가 되어 눈앞에 펼쳐진다.

    ‘안1’, ‘안2’, ‘안3’, ‘안4’라는 캐릭터를 통해 주인공 ‘안’의 다양한 내면을 표현함과 동시에 이들은 다람쥐가 되기도 하고, 꽃잎이 되기도 하며, 접시나 앵두나무가 되어 1인 10역 이상의 배역을 소화하며 무대 위 1초도 쉴 틈 없는 템포를 만들어낸다. 수많은 ‘빨간머리 앤’ 중에 가장 시끌벅적 천방지축 개성 넘치는 공연으로 밖에서 안으로 안에서 밖으로 ‘안’의 자신만의 온전한 삶을 찾기 위해 좌충우돌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람들과 소통하고 이해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연을 보는 이들에게 신선한 재미와 가슴 따뜻한 감동을 전한다.



    시놉시스 및 출연자


    연극 반쪼가리 자작


    시놉시스

    어두운 무대에 선 배우들이 이야기를 시작한다.


    어수룩하고 남루한 모습의 광대들의 이야기 속 ‘청년, 메다르도 자작’


    선과 악이 뒤섞여 막연한 감정들이 혼란스럽게 터져 나오는 청년기의 메다르도 자작. 메다르도 자작은 호기롭게 나섰던 이교도와의 전쟁에서 적의 포탄에 맞아 몸이 반으로 갈라져 버린다. 살려낸 메다르도는 오른쪽만 남은 반쪼가리 뿐. 


    그렇게 ‘절대적인 악’만이 남은 반쪼가리 메다르도는 영지로 돌아오고 그런 그를 맞이하는 사람들은 혼란과 고통을 겪는다. 온전한 인간들은 온전하지 못한 반쪼가리의 통치를 받으며 살아가고 이 생활에 익숙해 질 때 쯤 없어진 줄 알았던 왼쪽의 또 다른 반쪼가리, ‘절대적인 선’의 메다르도가 돌아온다.


    온전하지 못한 사람과 온전한 사람들의 이야기

     

    ddddd.JPG


    출연배우


    출연진1.JPG

     

    음악극 붉은머리 안


    시놉시스

    애번리의 한 기차역, 매슈는 집안일을 거들어줄 남자아이를 기다리고 있다.

    한참을 기다린 매슈 앞에 나타난 아이는 ‘안’이라는 이름의 붉은머리 소녀.

    매슈를 따라 초록지붕 집으로 오게 된 안은 우여곡절 끝에 초록지붕 집 안으로 발을 들이게 된다.

    안은 그 곳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되지만 이리저리 부딪힌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이들을 이해시키기 위해 애쓰던 안은 마침내 초록지붕 안으로 스며들게 되고

    온전한 자신의 삶을 찾아 나아기기 시작한다

     


    출연진2.JPG

    backward top home